A/B 슬레이브 | AS-Interface 네트워크에서 주소 공간을 62 슬레이브로 확장 |
Adapter | 주기적 데이터 트래픽과 관련한 ControlNet의 수동적 장치 독립적으로 다른 노드에 주기적 연결을 할 수 없지만 비주기적 연결은 언제나 가능 |
아날로그 모듈 | 순차적 데이터 전송을 이용하여 최대 24 bit 아날로그 값 전송 |
AS-Interface 전원 공급 장치 | 데이터를 동시에 디커플링하면서 전체 시스템에 전원 공급 |
AT | 드라이브 텔레그램, 각 슬레이브가 해당 타임 슬롯에 AT 송신 |
Bit strobe | 멀티캐스트/브로드캐스트 I/O 데이터 교환 |
부트업 | 노드 스타트업 시퀀스 |
CIP | (제어 및 정보 프로토콜)은 ControlNet 노드에서 통신 객체를 연결하기 위한 주소 지정 수단 |
Consumer | 데이터 수신 장치 |
Consumer/ Producer | ControlNet 시스템 내에서 데이터의 특성화와 주소 지정을 위한 프로세스 |
COS | 상태 변화(Change of State) 데이터 변경 시 I/O 데이터 전송 |
CP0-CP4 | 통신 단계 |
주기적 | 타이머 제어 데이터 전송 |
DP | Decentral Periphery |
DPM1 | 마스터 등급 1은 주기적 데이터 교환 제어 수행 |
DPM2 | 마스터 등급 2는 진단, 컨피그레이션, 모니터링 수행 |
DPV1 | DP 확장, 비주기적 서비스 |
EMCY | 응급, 응급 상황 알림 |
Explicit 메시지 | 비주기적 데이터 채널 |
FDL | Fieldbus Data Link는 DP 및 FMS와 동일한 2 계층의 PROFIBUS 통신을 정의 |
FMS | 필드버스 메시지 사양 |
4세대 | 최신 InterBus 테크놀로지 세대 |
GSD | 장치 설명 파일 |
가드 | 노드 모니터링 |
허브 | 스타 형식 케이블링을 위한 중앙 연결 장치 |
ID-Code | 장치 분류 코드 |
IDN | ID 번호 |
길이 코드 | 코드화된 장치 I/O 길이 정보 |
로컬 버스 | 메인 케이블의 로컬 지점 |
루프 | 간단한 센서/액츄에이터용 InterBus 전송 테크놀로지 |
마스터 | 활성 장치, 버스 액세스 제어 |
MDT | 마스터 데이터 텔레그램, 슬레이브로의 데이터, 브로드캐스트 |
미디어 이중화 | 전체 네트워크의 다운을 줄이는 시스템 옵션 |
모노마스터 | 네트워크에 마스터 1개 |
MST | 마스터 동기화 텔레그램, AT를 통해 연결된 슬레이브의 동기화 허용 |
멀티 마스터 | 네트워크에 여러 개의 마스터 |
NMT | 네트워크 관리 |
PA | 프로세스 자동화 |
파라미터 데이터 | AS interface 슬레이브의 비주기적 제어. 예: 광원 배리어의 다이오드 송신 끄고 켜는 것을 차단 |
PCP | 주변 장치 통신 프로토콜 비주기적 데이터 채널 |
PDO | 프로세스 데이터 객체, 프로세스 데이터 채널 |
PDO 매핑 | PDO당 프로세스 데이터의 컨피그레이션 |
Polling | 비주기적 I/O 데이터 교환 |
사전 정의된 마스터/슬레이브 | 마스터와 슬레이브 간 사전 정의된 연결 설정 |
Producer | 데이터 송신 장치 |
원격 버스 | RS422 또는 광섬유 전도체 메인 케이블 |
SAP | Service Access Point |
Scanner | ControlNet 참가자 간의 주기적 데이터 트래픽 설정에 필요합니다. NUI(Network Update Interval) 구성을 담당합니다. |
일정한 데이터 교환 | 입출력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일정한 주기적 데이터 교환 |
SDO | 서비스 데이터 객체, 비주기적 데이터 채널 |
SERCOS | 시리얼 실시간 통신 시스템 |
슬레이브 | 수동 장치, 마스터에 응답 |
스위치 | 스타 형식 케이블링과 액세스 충돌 솔루션을 위한 중앙 인텔리전트 연결 장치 |
SYNC | 마스터의 동기화 주기 |
TCP/IP | Transport Control Protocol/Internet Protocol 연결 기반, 인터넷 프로토콜의 기반이며 보안 전송 프로토콜 |
UCMM | 연결되지 않은 메시지 관리자 |
UDP | User Datagram Protocol 연결이 필요 없는, 멀티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위한 보안되지 않은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|
예기치 않은 데이터 교환 | 컨피그레이션이나 파라미터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예기치 않은 비주기적 데이터 교환 |